[핵심기본간호술] 01 활력징후 (vital sign)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핵심기본간호술 - 활력징후, 같이 공부해요 :D 환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측정하고 판단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력징후(바이탈 사인)' 간호학과 학생들은 임상실습에 나가면 '바이탈 기계'가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환자들의 바이탈을 측정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데요, 기본적인 활력징후의 정상범위, 영향을 미치는 요인, 측정 방법은 알고 가면 좋겠죠? 1. 활력징후란? →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총칭한 것으로, 사람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것 → 대상자의 문제를 규명하거나 상태를 감지하는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 → 다른 생리적 측정과 함께 임상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초 2. 성인의 활력징후 정상범위 1) 혈압 2) 체온 : 36.5 ~ 37°C 3) 맥박 : 60 ~ 100회/분 4) 호흡 : 12 ~ 20회/..
2024. 3. 27.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후 간호 (JP drain, Hemovac, IV PCA 관리)
핵심기본간호술 - 수술 후 간호, 같이 공부해요 :D 외과에서 실습하면 흔히 볼 수 있는 배액관인 'JP bag과 Hemovac, 그리고 수술 후 발생하는 통증을 조절해주는 'IV PCA' 의 관리방법에 대해 공부해보자구요 ! 1. 수술 후 상처배액 종류(JP drain, Hemovac)에 따른 관리 방법 ★ ·배액체계가 적절히 기능하는지 정규적으로 검사함 ·흡인백을 비울 때는 잠금장치를 하고 뚜껑을 연 후, 내용물을 비우고 측정함 ·소독솜으로 배출구와 뚜껑을 닦고, 흡인백을 완전히 눌러 음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닫음 ·배액관이 꼬이거나 당기지 않게 고정함 ·배액관 삽입부위 상태, 배액양상(양, 색깔), 교육내용,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 ·대상자가 움직이는 동안에는 대상자의 옷에 핀으로 고정함 2. 수술 후..
2022.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