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기본간호술 -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같이 공부해요 :D
1.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의 목적 ★
= 비교적 낮은 농도의 산소를 주입하여 저산소증을 치료하기 위함이다.
2. 수행목표
1) 산소요법 적용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2)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수행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
3) 정확한 절차에 따라 산소요법을 적용할 수 있다.
4) 산소요법 수행 후 기록할 수 있다.
3. 필요장비 및 물품
·Wall O₂ ·산소유량계/습윤병 ·멸균증류수 ·간호기록지 ·손소독제
4. 선행지식
1) 산소포화도의 의미
= 산소-헤모글로빈의 결합 정도를 측정한 값
2) FiO₂의 정의
=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흡입산소농도 또는 흡기산소분율
= 숨을 들이쉴 때, 그중에 산소가 얼마나 있는가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환자의 호흡수, 호흡량, 산소공급 속도에 따라 실제로 환자가 들이쉬는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달라짐)
3) 산소요법의 적응증과 종류 및 특징 ★
[적응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렴
·심한 천식
·수면 무호흡증
·PaO₂의 감소
·호흡곤란
·청색증
·울혈성 심부전
·마취 시 호흡곤란
·급성심근경색증 등
[산소요법 종류 및 특징]
종류 | 주입속도(FiO2) | 특징 |
비강캐뉼라 (Nasal cannula) |
1~6L/min 22~44% |
- 저농도 산소 투여에 효과적 - 음식 섭취 중 적용 가능 - 안전하며 쉽게 적용 가능 - 비강 내 점막 자극 가능성 O |
단순 마스크 (Simple face mask) |
5~8L/min 40~60% |
- 비강 캐뉼라보다 높은 고농도의 산소 공급 가능 - 코와 입 주변에 자극 가능성 O |
벤츄리 마스크 (Venturi mask) |
4~15L/min 24~50% |
- 정확한 FiO2 농도 유지 가능 - 코와 입 주변에 자극 가능성 O |
부분 재호흡 마스크 (Partial rebreathing mask) |
6~10L/min 40~70% |
- 낮은 농도에서 FiO2 유지 및 증가 가능 - CO2 과량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저장백 O - 코와 입 주변에 자극 가능성 O |
비재호흡 마스크 (Non-breathing mask) |
6~16L/min 60~90% |
- 가장 높은 농도의 FiO2 공급 가능 -코와 입 주변에 자극 가능성 O |
비강 카테터 (Nasal catheter) |
6~9L/min 44~68% |
- 음식 섭취 중 적용 가능 - 비강 내 점막 자극 가능성 O - 산소가 위 내로 공급할 가능성 O |
5. 수행항목 및 이론적 근거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처방을 확인한 후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조직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대상자 확인은 안전 간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
대상자에게 산소요법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대상자의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며 협조를 얻을 수 있다. 산소는 발화보조물이므로 화재예방을 위해 금연 등 안전 예방책을 지켜야 한다. |
대상자에게 가능하면 반좌위를 취해준다. | 복부에 의한 횡격막 압력이 감소해 폐확장을 도울 수 있다. |
습윤병에 증류수를 정해진 눈금까지 채운 후 증류수 마개를 닫는다. |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산소는 가습이 되어야 호흡기 점막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
유량계와 습윤병을 연결한 후 Wall O₂ 벽에 산소유량계를 꽂는다. | |
습윤병에 있는 산소장치 출구와 비강캐뉼라를 연결한다. | |
대상자에게 연결하기 전에 비강캐뉼라를 통해 산소가 나오는지 확인한 후 유량계를 잠근다. | 비강캐뉼라는 비교적 낮은 농도(22~44%)의 산소를 제공하며, 산소유량은 0.5~6L/분으로 주입한다. 6L/분 이상의 유량은 호흡기 점막을 손상시킨다. |
대상자 비공의 폐색 여부를 확인한다. | |
캐뉼라 끝부분을 대상자의 양쪽 비강에 삽입하고 귀 뒤에 걸친 후 턱 밑에서 길이를 조절한다. ※ 참고) 장기적 사용 시 패딩 적용. 예) COPD, astma 환자 등 |
캐뉼라의 정확한 위치와 고정은 산소투여를 원활하게 하며, 대상자를 편안하게 한다. 조이는 부분에 패드를 대주어 자극과 압박을 줄여 피부를 보호한다. |
유량계를 열어 처방된 산소 흡입량을 눈높이에서 조절한다. (유량기 내 Ball의 중심을 눈금에 일치시킨다.) |
눈높이보다 높게 볼 경우 처방보다 더 많이 조절될 수 있다. |
대상자에게 가능하면 입을 다물고 코를 통해 호흡하도록 설명한다. | 최적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준 후 산소사용에 따른 화재 위험성과 피부손상(코, 귀 등 접촉부위) 등을 설명한다. | 산소는 가연성이 있으며, 비강캐뉼라를 사용하면 코, 귀 뒤에 마찰로 인해 손상이 있을 수 있다.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산소주입 시작시간 2) 산소주입량 3) 호흡양상 4) 대상자의 반응 |
정확한 기록은 대상자의 간호 계획을 세울 때 중요하다. |
6. 간호기록지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03. 01 | 10:00 | SpO2 93% 측정되었으며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함. 주치의에게 noti 하여 semi-fowler's position 적용 및 O2 2L/min nasal cannula 적용함. 코로 숨쉴 것과 화재의 위험성 및 피부자극, 불편감에 대해 교육함. |
7. 참고 영상
현문사 -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https://youtu.be/k_SUDLDvbwM?si=Inkt0OQ01kfuaeky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or 방명록 남겨주세요 ❤️
'김가노의 간호간호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04 피하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4.03.29 |
---|---|
[핵심기본간호술] 03 근육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4.03.27 |
[핵심기본간호술] 02 경구투약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3) | 2024.03.27 |
[핵심기본간호술] 01 활력징후 (vital sign)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2) | 2024.03.27 |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후 간호 (JP drain, Hemovac, IV PCA 관리) (0) |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