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본간호술 - 경구투약(oral medication), 같이 공부해요 :D
안녕하세요 :)
핵심기본간호술 두 번째
구강을 통한 약물 투여에 대해 배워보도록 해요
경구투약은 입-식도-위장을 통해 흡수되는 것이므로 사전에 환자의 위장기능과 구개반사를 확인하고 투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자, 이제 경구투약의 선행지식과 수행항목에 대해 알아보아요 :D
1. 경구투약의 목적
: 대상자의 구강으로 약물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투여하기 위함이다.
2. 수행목표
1) 경구투약의 기본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2) 경구투약을 준비할 수 있다.
3) 경구투약에 적절한 체위를 취하고 투약할 수 있다.
4) 경구 투약 수행 후 기록할 수 있다.
3. 필요장비 및 물품
·투약카드 ·투약 컵 또는 약봉지 ·투약카트 또는 트레이
·물, 물컵(필요시 빨대) ·코프시럽 약병(실제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준비)
·휴지(또는 종이타월) ·투약 기록지, 손소독제
4. 선행지식
1) 투약의 기본 원칙 ★ 투약 오류 예방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
<5 rights>
- 정확한 대상자 : "환자분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 정확한 시간 : Tid, Bid, QD 등 오더 확인하기
- 정확한 약물 : 투약카드와 오더 확인하기
- 정확한 용량 : 투약카드와 오더 확인하기
- 정확한 투여경로 : PO, SC, ID, IM, IV 등
2) 금기
- 연하곤란
- 무의식
- 금식
- 소화기장애
- 구강수술 및 외상
- 지남력 상실
3) 대상자의 경구투약 가능 여부 사정방법
- 구강 건조로 연하곤란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침을 삼켜보거나 물을 한 모금 마셔보도록 한다.
- 연하기능이나 위장기능 장애여부를 사전에 확인한다.
- 구개반사가 있는지 확인한다.
4) 경구 투약 시 유의사항
- 장용제는 위에서 흡수되지 않은 특수한 물질로 되어있다. 이러한 약물은 위 점막을 자극하므로 소장에서만 흡수되도록 한다. 근야 삼키게 하고 씹거나 부수어 먹지 않아야 한다.
- 설하투여 시 절대로 약물을 삼키게 하거나 씹고 부수어 먹지 않아야 한다.
- 라벨을 읽을 수 없거나 아예 라벨이 없는 경우 약은 약국으로 돌려보낸다.
- 대상자에게 투여하지 않은 약은 다시 약병에 붓지 말아야 한다.
- 다른 약병으로 약을 옮기지 않는다.
- 침전물이 생겼거나, 변색된 약은 사용하지 않는다.
- 투여하기 전에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한다.
5) 투약 준비 시 약물 3차 확인 시기
- 1차 : 약물을 꺼낼 때
- 2차 : 투약을 준비할 때
- 3차 : 버리거나, 재보관 시
6) 경구투약의 장단점
- 장점 : 투약 오류 시 위세척을 통한 대처가 가능하고 투여가 용이함
- 단점 : 낮은 흡수율, 흡인 위험성
7) 경구투약 시 적절한 대상자 체위
- 파울러 체위 (반좌위)
- 편마비 : 건강한 쪽으로 구강투여 진행
8) 투약 전 활력징후 사정이 필요한 경우
- 강심제 투여 전 맥박측정
: Digoxin(강심제) 투여 시 독성증상에는 서맥, 구토, 부정맥 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마약성 진통제 투여 전 호흡수 측정
: 마약성 진통제 morphine은 연수의 호흡 중추에 작용해 호흡수를 감소시키고 폐 잔류량을 증가시키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5. 수행항목 및 이론적 근거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투약카드에서 대상자의 약물이 들어 있는 약포지를 꺼내어 투약처방과 투약원칙(5rights;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 의사의 투약처방 내용과 비교해 봄으로써 투약카드에 잘못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사의 투약처방이 정식 투약지 이다.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조직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대상자 확인은 안전 간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
약물 투여 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을 설명한 다음 약물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 약물에 관한 설명을 하는 것은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
앉거나 파울러씨 체위를 취하도록 하되 앉는 것이 금기라면 측위를 취하도록 돕는다. | 투약에 적합한 자세로, 흡인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흘리지 않도록 휴지나 타월을 대준다. | 환의가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
구강건조로 연하곤란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침을 삼켜보거나 물을 한 모금 마셔보도록 한다. | 경구투약이 가능한지 사정하는 방법이다. |
알약은 한꺼번에 복용하지 말고, 한 번에 한 알씩 복용하도록 돕는다. 알약 복용 후에 물약을 복용하도록 한다. | 흡인을 예방하고 투약시 대상자 참여를 유하고 용기를 준다. |
약물을 다 삼킬 때까지 대상자 옆에 있으면서, 약물복용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우면 대상자에게 말을 시켜보거나 입을 벌려보도록 한다. | 투약은 반드시 대상자 곁에서 확인한다. |
투약 후에는 대상자가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 피로를 덜어주기 위함이다.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1) 5rights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 2) 필요시 투약 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 못한 이유 |
투약 후 즉시 기록해 약물이 이중으로 투여되는 일이 없게 한다. |
6. 간호기록지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03.01 | 10:00 | 대상자 두통 호소하여 NRS 3점 측정됨. 혈압 130/80mmHg, 맥박 86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8 측정됨. |
10:10 | PRN 처방에 따라 아세트아미노펜 1tab(650mg) 경구투여함. | |
10:40 | NRS 2점으로 통증 감소되었다고 표현함. |
7. 참고 영상
[현문사] -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경구투약
https://www.youtube.com/watch?v=6JYJde80qTA
[1분간호] QD, BID, TID, QID, MIV, IVS 이게 뭐지?
https://www.youtube.com/watch?v=_DeQTEf7f40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or 방명록 남겨주세요 ❤️
'김가노의 간호간호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04 피하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4.03.29 |
---|---|
[핵심기본간호술] 03 근육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4.03.27 |
[핵심기본간호술] 01 활력징후 (vital sign)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2) | 2024.03.27 |
[핵심기본간호술]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2.08.25 |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후 간호 (JP drain, Hemovac, IV PCA 관리) (0) |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