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가노의 간호간호/핵심기본간호술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후 간호 (JP drain, Hemovac, IV PCA 관리)

by ktreasure 2022. 8. 25.
반응형

핵심기본간호술 - 수술 후 간호, 같이 공부해요 :D


외과에서 실습하면 흔히 볼 수 있는 배액관인 'JP bag과 Hemovac,
그리고 수술 후 발생하는 통증을 조절해주는 'IV PCA' 의 관리방법에 대해 공부해보자구요 !


1. 수술 후 상처배액 종류(JP drain, Hemovac)에 따른 관리 방법
·배액체계가 적절히 기능하는지 정규적으로 검사함
·흡인백을 비울 때는 잠금장치를 하고 뚜껑을 연 후, 내용물을 비우고 측정함
·소독솜으로 배출구와 뚜껑을 닦고, 흡인백을 완전히 눌러 음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닫음
·배액관이 꼬이거나 당기지 않게 고정함
·배액관 삽입부위 상태, 배액양상(양, 색깔), 교육내용,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
·대상자가 움직이는 동안에는 대상자의 옷에 핀으로 고정함


2. 수술 후 통증관리 방법
·흉복부수술의 경우 베개나 손으로 수술부위 지지
·의사 처방에 의한 온, 냉요법 적용
·전환요법 : 통증감각이 아닌 다른 자극에 주의를 집중하게 하는 방법 수행
·이완요법 및 심상요법 수행
·자가통증조절기(IV PCA) 적용


3. 수술 후 발생하는 흔한 합병증과 간호 방법
·심장과 폐의 변화로 인한 무기폐, 폐렴, 혈전성 정맥염, 색전 등을 들 수 있음
·합병증 경감을 위해 심호흡, 기침, 강화폐활량계, 다리운동, 체위변경 등 신체활동 실시
·간호사는 수술 전에 대상자에게 활동의 목적을 설명하고, 시행방법을 교육하여 대상자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함


4. IV PCA 관리 방법
·IV PCA 적용 부위의 피부 상태 관찰 (clear, oozing, swelling, bleeding)
·IV PCA의 사용방법 설명 : 주입펌프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이 주입되나, 정해진 용량이 투여된 후 일정기간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는 투여되지 않음을 설명
·IV PCA의 부작용 설명 : 호흡억제, 오심, 구토, 어지러움 등


5. 수행항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쟁반, 배액 측정컵, 일회용 장갑, 소독솜, 곡반, 손소독제, 일반의료폐기물 전용용기)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IV PCA 교육>
1) 대상자에게 IV PCA 적용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ex) "이것은 통증을 스스로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통증이 심할 때 누르시면 됩니다."
2) 부종, 발적, 통증 등을 사정하고 IV PCA 적용 부위의 피부를 확인한다.
3) IV PCA의 사용방법, 버튼기능,  용량, 간격에 대해 설명한다.
  (1) 주입펌프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이 주입
  (2) 정해진 용량이 투여된 후 일정기간 (보통 10~15분간)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가 투여되지 않음을 설명
4) IV PCA에 의한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알려줄 것을 교육한다.
<JP drain / Hemovac 관리>
1) 대상자에게 배액관 적용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ex) "수술한 부분에 분비물이 잘 빠져 나오는지 확인하고, 배액관을 비워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3)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4) 배액이 잘 되고 있는지, 배액관이 꼬이거나 접혀있지 않은지, 막힌 부분이 없는지 배액관을 확인한다.
5) 배액관 삽입 부위 드레싱 상태를 확인한다.
6) 배액관 위쪽을 잠근 후 흡인 백을 안전하게 잡고, 주의깊게 마개를 연다.
7) 흡인백의 내용물을 눈금이 있는 측정 컵에 옮겨 담는다.
8) 소독솜으로 배출구와 흡인백 마개를 닫고, 사용한 소독솜을 곡반에 버린 후, 흡인백을 눌러 음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배출구를 닫는다.
9) 배액관 위쪽의 잠금장치를 열어서 배액여부를 확인한다.
10) 환의를 정리한다.
11) 배액용 측정컵에 담긴 배액 양상, 배액의 양, 배액의 색깔, 투명도를 확인한다.
12) 배액물을 우물 배출구에 버리고, 측정컵을 물로 헹군다. 
13) 장갑을 벗어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14)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5)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배액관 삽입부위 상태
  (2) 배액양상 ( 배액의 양, 색깔, 투명도 등 )
  (3) 교육내용

 

6. 간호기록지

날짜 시간 간호기록
03.26 10:00 수술 후 IV PCA 삽입 부위 사정 결과 통증, 발적, 종창, 삼출물 등 없었음. PCA 적용 목적과 사용방법, 유의사항,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필요시 간호사 호출벨을 누르도록 교육함.
  10:05 LUQ 부위에 JP Drain 적용하여 유지중이며 적용 부위 출혈, 삼출물, 발적, 부종 등은 없었음.
JP Drain 통해 연한 빨간색 배액물 30cc 배액되었음.

 

7. 참고영상
[현문사]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수술 후 간호
https://www.youtube.com/watch?v=W4A_WBh6xuU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or 방명록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