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기본간호술 - 간헐적 위관영양, 같이 공부해요 :D
안녕하세요 :)
핵심기본간호술 8번째
간헐적 위관영양에 대해 배워보도록 할게요!
1. 목적
: 충분한 양의 음식과 수분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위관을 사용하여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2. 수행목표
1) 간헐적 위관영양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2) 간헐적 위관영양과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
3) 간헐적 위관영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4) 간헐적 위관영양 수행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3. 필요장비 및 물품
·처방된 위관영양액 ·관장용 주사기(50ml), 영양액 주입 용기와 세트
·물 ·트레이, 곡반(폐기물 용도) 위 모형이 있는 인형 ·손소독제, 간호기록지 ·종이타월, 수건
4. 선행지식
1) 내과적 무균술
- 내과적 무균술의 기본은 감염회로를 끊는 것이다. 이는 감염이 없는 대상자에게도 적용되며, 철저한 내과적 무균법의 적용은 의료감염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내과적 무균술은 감염원의 조절 및 제거, 저장소 관리 및 제거, 탈출구 관리, 전파차단, 숙주로의 침입구 관리가 있다.
- 손씻기는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2) 위관영양의 적응증

: 구강 섭취가 3일 이내 충분히 가능하지 않거나, 안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환자 중 위장관의 기능이 정상적이고 경장영양관의 삽입이 가능할 경우에는 경장영양을 고려해야 한다.
3) 위관영양 시 체위와 영양액 투여 시 주의사항
(1) 체위
- 침상 머리를 평평하게 하며, 앙와위(Supine)를 지속적으로 취하는 것은 역류와 흡인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 반좌위는 위내용물의 폐흡인을 방지한다.
- 위관영양 시 체위는 금기가 아니라면 30~45˚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한다.
- 의식이 없다면 측위를 취해 흡인을 예방한다.
- 경장영양 후 30분 ~ 1시간 동안 최소한 30˚ 상체를 올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음식의 소화와 영양액이 위에서 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고, 영양액의 폐흡인 가능성을 예방한다.
(2) 주의사항
- 위관영양액을 주입하기 전 위관의 위치를 확인한다.
- 비위관용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 후, pH 테스트 종이에 떨어뜨려 측정한다.
- 왼쪽 상복부 사분원에 청진기를 대고 위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며 소리를 청진한다.
- 잔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위 내용물을 흡인한 후 다시 위에 넣는다. (100ml 이상이면 의사 noti)
- 튜브의 끝을 물이 담긴 용기에 담가 공기방울이 발생된다면 폐로 들어간 것이므로 재확인한다.
4) 위관 영양 부작용의 종류와 간호
- 기관지로 영양액이 흡인되어 괴사성 감염, 폐렴, 농양 형성의 가능성
→ 침상머리를 30~45˚로 상승, 지속적 영양 대상자의 경우 4~6시간마다 위잔여량 측정
- 탈수, 설사, 장경련
→ 천천히 음식물 주입, 음식의 강도 줄이기
- 당뇨, 빈뇨
→ 음식물 천천히 주입, 필요시 인슐린 투여
- 오심, 구토
→ 위 공복지연 시 발생, 위 잔여량 측정
5. 수행항목 및 이론적 근거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병원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포함하여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조직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체온 정도의 온도로 데운다. | 뜨거운 온도는 위장관에 자극이 갈 수 있고, 너무 찬 온도는 소화액 분비를 감소시켜 경련을 초래하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 한다. | 대상자에게 신뢰를 주기 위함이다.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병원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대상자 확인은 안전 간호의 중요한 부분이다. |
대상자에게 위관영양을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
금기가 아닌 경우 대상자를 30~45˚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하게 한다(일어나지 못하면 오른쪽으로 눕힌다). | 머리를 위보다 높게 해 위관영양으로 인한 기도 흡인 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환자와 접촉하기 전, 손 세정제를 위한 손위생은 20~30초를 한다. 병원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
대상자의 옷에 고정되어 있는 위관을 풀고, 꺾은 후 마개를 빼고 위관에 소량의 공기가 든 주사기를 연결한다. | 위관을 꺾어 위 내로 공기를 유입하지 않기 위함이다. |
꺾어 쥔 위관을 풀고 (위관을 위벽에서 분리하기 위해)공기를 주입한 후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하고, 내용물이 소화액인 경우에는 위로 다시 주입한다. ※ 흡인해 낸 위 내용물이 200~250mL 미만이면 위로 다시 주입하고, 250mL 이상으로 소화가 안 된 채 나오면 영양 공급을 하지 않고 의사에게 알린다. |
비위관의 위치가 위에 잘 위치하였는지, 항상 확인한다. 소화되지 않은 채 영양액을 주입하게 되면, 오심과 구토를 유발하고, 위장 안에 음식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주입하게 될 경우 역류로 인해 폐 흡인 유발 가능성이 있다. 흡인한 위 내용물을 다시 주입해 체액과 전해질의 손실을 막는다. |
위관을 꺾어서 쥐고 주사기를 분리하고 위관 마개를 막는다. | 위 내로 공기를 유입하지 않기 위함이다. |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담은 용기를 주입세트와 연결한 다음 공기를 끝부분까지 제거하고 걸대(pole대)에 건다. | 중력에 의해 유동식이 천천히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
주사기 내관을 제거한 뒤 위관을 꺾어 쥔 후 위관 마개를 열고 위관에 주사기를 연결한다. | |
실온의 물 15~30mL 정도를 주사기에 붓고 꺾어 쥔 위관을 풀어 천천히 주입하다가 주사기 끝에 물이 도달했을 때 다시 위관을 꺾어 쥐고 주사기를 제거한다. | 물을 주입해 위관을 통과시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분당 50ml 정도 유동식이 주입되도록 속도를 조절한다. |
걸대에 걸어둔 처방된 위관영양액 용기를 위관에 연결한 후 꺾어 쥔 위관을 풀고 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 참고) 1분에 50mL 이하의 속도로 주입 |
빠른 주입은 오심, 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복부경련이나 설사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위관 영양액의 농도를 낮추거나, 주입속도를 줄인다면 증상이 나아질 수 있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중단한다. |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모두 주입하여 용기 끝에 용액이 도달했 을 때 위관을 꺾어 쥔 후 용기를 제거한다. | 위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내관을 뺀 주사기를 위관에 연결하고 실온의 물 30~60mL를 주사기에 부어 위관을 씻어준다. | 농축된 유동식에 의해 위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물이 위관으로 다 주입되기 직전에 위관을 꺾어 쥔 후 주사기를 빼고 위관 마개를 막은 후 위관을 다시 제자리에 고정한다. | 위관을 꺾어 위 내로 공기를 유입하지 않기 위함이다. |
대상자에게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앉아 있어야 함을 설명하고 현재의 자세(30~45° 앉은 자세)를 30분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 좌위는 기도 흡인을 예방하며, 소화를 돕는다.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조직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병원균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날짜 및 시간 2) 용액의 양과 형태, 주입시간 3) 대상자의 반응 4) 대상자의 팽만감이나 구토증 5) 대상자의 자세 |
정확한 기록은 대상자의 간호 계획을 세울 때 중요하다. |
6. 간호기록지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03.01 | 10:00 | 위관영양액 주입 전 위관 흡인으로 관의 위치를 확인함. 위 잔류랑 40ml 확인됨. 처방된 영양액 250ml를 L-tube를 통해 간헐적 점적식으로 연결하여 주입속도 100gtt/min으로 조절함. |
10:10 | 사정 시 불편감, 복부팽만, 오심, 구토, 청색증 등 이상증상 없었음. |
7. 참고 영상
[현문사] -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간헐적 위관영양
https://www.youtube.com/watch?v=8DGMX57Y3Vo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or 방명록 남겨주세요 ❤️
'김가노의 간호간호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10 유치도뇨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2) | 2024.03.31 |
---|---|
[핵심기본간호술] 09 단순도뇨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1) | 2024.03.31 |
[핵심기본간호술] 07 수혈요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3) | 2024.03.30 |
[핵심기본간호술] 06 정맥 수액 주입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4) | 2024.03.29 |
[핵심기본간호술] 05 피내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2)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