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기본간호술 - 정맥 수액 주입, 같이 공부해요 :D
안녕하세요 :)
핵심기본간호술 6번째,
정맥수액주입에 대해 배워보도록 할게요 !
1. 수액요법의 목적
★ 어떤 술기든지, 수행 목적을 아는 것이 가장 중요
1) 구강섭취가 어려운 대상자의 수분, 영양 공급
2) 전해질, 산, 염기 불균형 조절
3) 약물의 지속적인 혈중 농도 유지
4) 많은 용량의 약물을 희석해서 천천히 주입
5) 응급상태에서 약물의 신속 공급
6) 항생제, 항암제, 수혈 등 약물 투여
2. 수행목표
1) 수액주입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2) 수액과 정맥주입 기구와 약물을 준비할 수 있다.
3) 혈관 카테터 삽입(정맥천자)과 수액연결, 수액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4) 정맥 수액 주입 용량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5) 정맥 수액 주입 후 기록할 수 있다.
3. 필요장비 및 물품
·5% Dextrose water 500ml (수액백) ·수액세트 ·22G~24G 혈관 카테터(angio catheter)
·지혈대(tourniquette) ·소독솜 또는 포비돈 스틱 ·수액걸대(IV pole) ·곡반(kidney basin)
·투명 필름 드레싱(tegaderm 또는 IV 3000 또는 고정용 반창고) ·5% DW 500ml IV라고 쓰인 약 카드
·팔 정맥 주사 모형 ·투약카트 또는 쟁반(tray) ·투약 기록지, 손소독제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수액백 부착용 라벨
4. 선행지식
1) 말초정맥 주사부위 ★
(1)요측피정맥 (2)척측피정맥 (3)부요측피정맥
(4)전완정중피정맥 (5)중수정맥
※말초정맥 천자부위 선택 시 지켜야 할 원칙
·말초 쪽 요측피정맥(caphalic vein)이나 척측피정맥(basilic vein)이 천자하기 좋은 부위
·손등의 표재정맥은 성인에게는 적합하나 노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음
·잘 사용하지 않는 쪽의 팔 선택
·장기간 주입 시 전주와(cubital fossa) 부위의 정맥은 피함
·하지정맥은 말초순환 정체와 혈전증의 위험으로 피함
·대상자의 상태 고려 : 화상부위 혈관, 수술받은 쪽 팔이나 유방 절제술 받은 쪽 팔은 피함
·영아는 두피정맥 사용 : 접근성이 쉽고 바늘이 빠지는 것을 예방
2) 수액 용량 계산 및 수액 주입 속도조절
(1) 사용하는 세트의 주입 조건을 확인한다.
(2) 주입률 계산
분당 방울수(gtt/min) = 총 주입량(mL) x drip factor (=mL당 방울 수) / 총 주입시간(분)
(3) 점적통에 떨어지는 분당 방울 수 계산
(4) 필요하면 정맥주입 조절기 조절하고 분당 방울수 다시 확인
(5) 수액용기에 주입률 표시
(6) 자주 감시, 기록
3) 수액 종류 & 부작용
[수액 종류]
(1) 등장성
-5% dextrose in water
-0.9% NaCl, Lactated Ringer's solution
(2) 저장성
-0.3% NaCl, 0.45% NaCl
(3) 고장성
-5% dextrose in 0.45 NaCl
-10% dextrose in water
-5% dextrose in 0.9% NaCl
[부작용 및 합병증] ★
(1) 침윤 : 수액이 피하조직 속으로 스며드는 것
(2) 정맥염 : 바늘 또는 카테터로 인해 혈관에 염증이 생긴 것
(3) 감염/패혈증 : 병원성 균이 혈류에 들어간 것
(4) 체액량 과다 : 수액이 단시간 동안 지나치게 빠르게 주입된 상태
(5) 색전증 : 순환계로 이물이나 공기가 들어가서 폐의 모세혈관의 차단한 상태
(6) 일혈 : 주사 약물이 혈관 주의의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 괴사를 일으키는 것
(7) 혈종 형성 : 주사침의 삽입이나 제거 시에 혈관벽의 손상으로 삽입 부위 조직에 혈액이 고이고 변색이 되는 것
5. 수행항목 및 이론적 근거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투약처방(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등)과 투약원칙(5rights ;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 정확한 투약을 하기 위함이다. |
투약 처방을 보고 수액의 유효일자, 이물질 유무 등을 확인한 후, 정확한 수액, 수액주입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대상자의 부작용 및 합병증 예방 / 안전을 위함이다. |
수액백에 날짜, 등록번호, 대상자 이름, 수액명, 용량, 주입속도 등이 적혀있는 라벨을 붙인다. | 정확한 투약을 하기 위함이다. |
수액과 수액세트를 연결한다. 1)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닦은 후 수액세트를 꽂아 점적통의 1/2 정도를 수액으로 채운다. |
수액주머니나 수액병의 입구로부터 미생물의 전파를 예방하고, 흡인 효과로 액체를 점적통으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또한 공기가 튜브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
2) 수액백의 높이를 들어 올리거나 수액걸대에 걸고 수액을 통과시켜 튜브의 공기를 빼낸 다음 조절기를 잠근다. | 공기색전물로서 적용할 수 있는 다량의 공기를 튜브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조직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와 신뢰감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또는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대상자 확인은 안전 간호의 중요한 부분이다. |
투약의 목적과 약물의 효과, 주의사항, 방법을 설명한다. | 불안감을 제거하고 대상자의 협조를 얻는다. |
침상 옆의 수액 걸대에 수액백을 걸고 수액세트의 끝을 대상자에게 주사할 부위 가까이에 둔다. | 빠르고 정확한 처치를 위함이다. |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팔을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정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 적합한 부위를 선택하는 것은 대상자의 불편을 감소시키고, 신체조직의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
정맥 상태가 양호한 부위 보다 12~15cm 위쪽을 지혈대로 묶어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보다 정맥이 곧고 길게 두드러진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 심장으로 혈류를 막는 것은 정맥을 팽창시킨다. 60초 이상 지혈대로 적용해서는 안 된다.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천자할 정맥을 정하고 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8cm 정도 둥글게 닦는다. | 주사부위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
정맥 천자할 부위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분의 피부를 한손 엄지손가락으로 팽팽히 잡아당긴 다음 다른 손으로 카테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고 15˚~30˚로 혈류 방향을 따라 카테터를 정맥 내로 삽입한다. | 정맥과 주위조직을 누르는 것은 주사침이 들어갈 때 정맥이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주사침의 자극을 최소화하며 정맥 내로 들어가게 하고 주사침이 정맥을 관통하는 것을 막아준다. |
카테터 내로 혈액이 역류되면 카테터의 중심부를 잡고 카테터의 삽입각도를 약간 낮추면서 카테터를 혈관으로 진입시키면서 카테터 길이만큼 탐침을 조금씩 빼낸다. | 혈액이 역류되면 카테터가 정맥 내로 제대로 들어간 것이다. |
카테터가 완전히 삽입된 후 카테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지혈대를 푼다. | 수액세트를 연결하기 전, 지혈대를 풀어야 한다. |
한 손으로 혈관 내로 삽입된 카테터의 끝 부위를 눌러주면서 다른 손으로 탐침을 재빨리 제거한다. | 삽입된 카테터가 힘에 의해 다시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정맥혈류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
탐침을 제거한 후 바로 수액세트의 튜브를 카테터의 중심부와 연결하여 혈액이 카테터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 침대와 대상자의 환의가 오염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
한 손으로 카테터 삽입 부분을 고정하듯 잡으면서 다른 손으로는 수액세트의 조절기를 풀어 수액 주입여부와 정맥천자 부위에 부종, 통증 등의 침윤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 주사침의 정맥 주위 조직으로 들어가면 주입용액은 피하조직으로 들어갈 수 있다. 침윤이 발생하면 수액 주입 중단 후 침윤 부위를 올려주고, 더운 물수건을 대준다. |
카테터에서 손을 떼어도 카테터 삽입부분이 꺾이지 않도록 수액 주입관을 안정적 위치에 놓은 후 반창고나 투명드레싱으로 카테터 삽입부위를 고정한다. | 정맥벽은 부드러워 주사침이 움직이면 관통된다. 튜브가 잘 고정되지 않으면 튜브 무게에 의해 정맥으로부터 주사침이 정맥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
처방에 따라 주입하는 수액의 속도를 조절한다. | 주입속도가 빠르면 조직 침윤, 정맥염의 발생 위험이 커진다. |
고정용 반창고나 드레싱에 카테터 삽입 날짜와 시간, 카테터의 크기를 기입한다. ex) 12/27 6pm 22G | 대상자를 돌보는 의료진에게 사용된 바늘의 유형과 삽입 일시를 알려 대상자와 주사부위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한다. |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 안정을 취하기 위함이다.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사용한 주사침 뚜껑을 끼울 때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험이다.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5rights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 못한 이유 |
정확한 기록은 대상자의 간호 계획을 세울 때 중요하다. |
6. 간호기록지 (예시)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03.01 | 10:00 | 오른쪽 전박에 22G Catheter insert 후 5% Dextrose Water 500ml IV start 함. |
10:10 | 카테터 삽입된 주사부위 확인 결과 발적, 부종, 통증 호소 없었음. |
7. 참고 영상
[현문사]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정맥 수액 주입
https://www.youtube.com/watch?v=rqsISWci63U
[옆집간호사 구슬언니] 수액주입속도 gtt수 계산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zaq_zv0IvqE
[옆집간호사 구슬언니] 실패없이 IV 하는 방법 (feat. 탱글탱글 좋은 혈관)
https://www.youtube.com/watch?v=qyC9wyPeBpI
[소년간호사] 다양한 수액(Fluid)들, 핵심만 담은 10분 컷
https://www.youtube.com/watch?v=UFoBr7b5sFQ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or 방명록 남겨주세요 ❤️
'김가노의 간호간호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08 간헐적 위관영양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2) | 2024.03.31 |
---|---|
[핵심기본간호술] 07 수혈요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3) | 2024.03.30 |
[핵심기본간호술] 05 피내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2) | 2024.03.29 |
[핵심기본간호술] 04 피하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4.03.29 |
[핵심기본간호술] 03 근육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