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가노의 간호간호/핵심기본간호술

[핵심기본간호술] 05 피내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by ktreasure 2024. 3. 29.
반응형

 

핵심기본간호술 - 피내주사, 같이 공부해요 :D


안녕하세요 :)
핵심기본간호술 5번째
피내주사에 대해 배워보도록 할게요!
항생제를 쓰기 전 부작용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AST(피부반응검사)를 하는데요,
AST가 필요한 약물, 희석방법, 수행항목까지 알아보도록해요 !

1. 피내주사(Intradermal, ID)
: 피부의 진피층에 약물을 투여하는 것

2. 목적
-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또는 과민반응을 검사하기 위함이다.
- 진단검사를 하기 위함이다. (예 : 투베르쿨린 반응검사)
- 예방접종을 위해 시행한다. (예 : BCG)

2. 수행목표
1) 피내주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2) 피부반응 검사에 필요한 용액과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
3) 피내주사를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4) 피내주사 결과를 판독하고 기록할 수 있다.

3. 필요장비 및 물품
·투약카드 ·1ml 주사기 2개 ·5ml 주사기 ·소독솜 ·피내주사용 모형
·바이알 ·증류수(혹은 생리식염수) 앰플 ·투약카트 또는 쟁반 
· 투약기록지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손소독제

4. 선행지식
1) AST란?
: 항생제 피부반응검사는 아나필락시스와 과민반응과 같은 치명적인 항생제의 전신반응 여부를 알기위한 목적으로,
일정배율로 희석한 항생제를 피내주사하여 IgE 매개 과민반응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2) 피내주사 부위
- 전완 내측 (아래팔의 안쪽)
- 상완 측후 (위팔의 앞옆쪽)
- 흉곽 상부 (윗가슴 부위)
- 견갑골 부위 (어깨뼈)

3) 용액 희석방법
 (1) 바이알에 1g 약물이 들어가 있는 경우 주사기로 바이알에 멸균증류수(or 생리식염수) 5ml를 주입한다.
  *참고 : 0.5g/V:2.5ml, 1g/V:5ml, 2g/V:10ml 주입
 (2) 1ml 주사기로 바이알에서 0.1ml 를 빼낸다.
 (3) 0.1ml의 약물이 들어있는 주사기에 증류수(or 생리식염수) 0.9ml를 더 넣어 1ml가 되도록 희석한다.
 (4) 주사기의 약물을 0.1ml만 남기고 0.9ml 의 약물을 빼낸다.
 (5) 0.1ml의 약물이 남아있는 주사기에 증류수 or 생리식염수 0.9ml를 더 넣고 1ml가 되도록 희석한다.

4) 피내주사 주사방법
 (1) 체모가 없고 병변, 착색이 없는 곳을 선정한다.
 (2) 주사부위 위로 2~3cm 부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3) 바늘 사면이 위로 오도록 하여 10-15 ˚ 각도로 표피 아래 진피층에 삽입한다.
 (4) 피부에 5-6mm 정도의 낭포가 생기도록 서서히 약물을 주입한다.
 (5) 주사바늘 제거 후, 낭포의 둘레를 펜으로 둥글게 표시하고 주사약명과 투약시간을 기록한다.
 (6) 주사부위를 마사지하지 않는다.
 (7) 투베르쿨린반응검사의 경우 48~72시간 후에, 알레르기 검사는 15분 후 결과를 관찰한다. 

5) 피부반응 검사 후 판독 기준

  근거 결과 수행
양성 - 발적지름 15mm 이상
- 팽진에 결절 O
- 두통, 안면홍조 등
과민 반응 O 의사에게 보고
투여 X
의양성 - 발적지름 10mm 내외
- 팽진지름 5-9mm
불명확한 반응 반대팔에 생리식염수대조 검사 실시
음성 - 발적지름 5mm 미만
- 팽진지름 5mm 미만
과민 반응 X 처방대로 수행

 

5. 수행항목 및 이론적 근거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투약처방과 투약원칙(5rights: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정확한 투약을 하기 위함이다.
주사기로 주사용 증류수 5mL를 앰플에서 빼낸다.  
약물이 든 바이알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닦는다.
(바이알에 1g의 약물이 들어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바이알에 증류수 또는 생리식염수 5ml를 멸균적으로 주입한다. (1000mg/ 5mL) 0.5g/V:2.5ml, 1g/V:5ml, 2g/V:10ml 주입
바이알에 들어있는 분말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기포가 생기지 않게 조심스럽게 바이알을 흔든다. 약물을 완전히 희석시키기 위위함이다.
바이알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다시 닦는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1mL 주사기로 바이알에서 0.1mL의 약물을 빼내 총량 1mL로 희석한다(20mg/mL). 10배로 희석시키기 위함이다.
주사기 약물 중 0.9ml는 버리고 나머지 0.1mL를 다시 총량 1ml로 희석한다(2mg/mL). 100배로 희석시키기 위함이다.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조직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
한다.
대상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 원팔찌와 투약카드를 대조하여 대상자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대상자 확인은 안전 간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대상자에게 피내주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적절한 피내주사 부위를 선택한다(전완의 내측면).  
대상자의 팔을 침대나 침상 밑 탁자(over-bed table)위에 바로 펴서 얹은 다음 편안한 자세로 있게 한다. 간호사 자신을 보호하고 환자와 간호사 모두 편안한 자세에서 수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주사 놓을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에서 바깥으로 직경 5-8cm 정도 둥글게 닦은 다음 소독액이 마를 때까지 잠시 기다린다. 투여하려는 주사부위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감염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 손으로 주사부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주사기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손으로 주사바늘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하여 주사기가 피 잔 부와 10~15° 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잡은 다음 표피 아래 진피층에 주사바늘의 사면이 들어갈 때까지 피내에 삽입한다. 주사바늘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하는 것은 진피 아래 조직에 약물을 투여하기 용이하다.
주사바늘의 사면이 피내로 삽입되고 나면 피부를 잡아당겼던 약 손으로 주사기의 밀대를 밀어 피부에 직경이 약 5-6mm(0.05mL) 정도의 낭포가 생길 때까지 약물을 서서히 주입한다. 낭포가 생긴다는 것은 주사기가 진피층에 정확하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주사바늘을 빼낸 후, 주사바늘이 빠져나온 부위로 약물이 나와 물기가 생긴 경우는 마른 소독솜으로 살짝 닦아낸다.  
작은 낭포의 둘레를 볼펜으로 동그랗게 표시한 다음, 주사약명과 투여시간을 적고 주사 부위는 마사지하지 않는다.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사용한 주사침 뚜껑을 끼울 때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15분 후에 주사 부위의 피부반응 결과를 판독한다.  
다음의 사항을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5 rights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
2) 피부반응결과: 양성 혹은 음성
3)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 못한 이유
투약 후 즉시 기록해 약물이 이중으로 투여되는 일이 없게 한다.

 

6. 간호기록지

날짜 시간 간호기록
03.01 10:00 Cefamezine 1g 전완의 내측면에 AST 시행하였음.
  10:15 AST 판독 결과 음성으로 관찰됨. 

 

7. 참고 영상

[현문사] -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피내주사
https://www.youtube.com/watch?v=ehz-f1I36pg

 

[옆집간호사 구슬언니] AST 약물 희석법, 항생제 반응검사 약물 믹스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tD-vIKnnAfw

 

[ 옆집간호사 구슬언니 구슬언니 ] 간호사를 위한 AST 실전 영상 (How to intradermal injection)
https://www.youtube.com/watch?v=8xKU0wH-Vm0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or 방명록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