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가노의 간호간호/핵심기본간호술

[핵심기본간호술] 03 근육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ktreasure 2024. 3. 27. 13:28
반응형

핵심기본간호술 - 근육주사, 같이 공부해요 :D


안녕하세요 :)
핵심기본간호술 3번째
근육주사에 대해 배워보도록 할게요!
근육주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한 부위를 선택하는 것인데요,
굵은 신경, 혈관, 뼈를 피해 근육이 잘 발달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1. 근육주사의 목적
 : 피하조직을 자극하는 약물을 근육 깊숙이 주사하기 위함이다.

2. 수행목표
1) 근육주사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2) 근육주사 약물을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다.
3) 근육주사 부위를 정확히 선정하여 근육주사를 수행할 수 있다.
4) 근육주사 수행 후 기록할 수 있다.

3. 필요장비 및 물품
·근육주사용 둔부모형 ·투약카드 ·일회용 멸균 주사기(바늘 포함) 2개
·소독솜 ·약물 라벨이 붙은 앰플 2개 ·투약카트 또는 트레이 ·투약 기록지, 손소독제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4. 선행지식
1) 근육주사 부위

주사부위 위치 특징 위치 선정
둔부의 배면
(엉덩이 뒷면)
둔부 4분면에서 위쪽 바깥쪽 - 근육이 커서 투여량을 충분히 흡수하며, 주사후 불편감이 적음
- 3세 이하 아동은 해당 부위 근육이 발달하지 않아 사용하지 않음
(1) 복위를 취한 후 발끝을 안으로 모은다.
(2) 둔부를 4분할로 나눈다.
(3) 4분할 중 위쪽 바깥쪽을 다시 4분할로 나눈다.
(4) 다시 나눈 4분할의 위쪽 바깥쪽이 주사부위다.
*발끝을 안으로 모으는 자세는 둔근의 긴장을 완화
둔부의 복면
(엉덩이 측면)
중둔근, 소둔근 - 가장 이완된 자세
-주요 신경이나 혈관이 없고, 지방조직이 적음
- 분변으로 인한 오염 적음
(1) 손바닥을 대전자에 놓는다.
(2) 검지를 전상장골극을 향하게 벌린다. (앞을 향해)
(3) 중지를 장골릉을 따라 넓게 벌린다. (뒤를 향해)
(4) V자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가 주사부위다.
외측광근 대퇴의 바깥부위 - 큰 신경이나 혈관이 없음
- 유아나 마른 환자 사용
대퇴부를 세로로 3등분 후 바깥쪽을 가로로 3등분 한 가운데 부분 
대퇴직근 대퇴 전 -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큰 혈관 및 신경의 분포가 없음
- 신생아 및 아동에게 주로 사용함
- 자가주사가 용이함
대퇴를 세로로 3등분 후 중간부위에 주사한다.
삼각근 상완 외측 부위 - 근육이 매우 얇고 작아 적은 양(1cc)을 주사할 때 사용함
- 큰 소아나 어른의 백신 접종 시 가장 흔히 사용하는 부위
-근육주사 부위 중 흡수속도 빠름
-다른 주사부위보다 근육량 적음
-영유아 금기
견봉돌기 5cm 아래 지점에 주사한다.


2) 근육주사 시 발생가능한 합병증과 예방방법
- 신경손상, 기형, 색전증, 괴사, 농양, 지속적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근육 깊숙이 주입하고, 내관을 당겨 혈액이 역류하는지 확인해 역류 안 하면 서서히 약물을 주입한다.
- 주사 전에 부위를 눌러 근육이 팽팽하고 탄력 있는지 확인한다.
- 혈액응고장애 대상자, 찰과상, 신경골조직 손상, 경결부위는 근육주사를 피해야 한다.

3) 근육주사 시 통증 감소방법
- 주사부위에 가능하면 가는 주사침과 적절한 길이의 주사침을 선택한다.
- 약물을 뽑은 후 주사침은 새것으로 바꾸어 찌른다.
- 근육을 이완시키는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 주사침은 가능하면 빨리 찌른다.
- 약물은 서서히 주입하여 주위 조직으로 퍼져 나가도록 한다.
- 약물 주입 후 삽입각도와 같은 각도로 주사침을 뺀다.
- 피하조직으로 약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Z-track 주사 방법을 사용한다.

4) Z-track 기법
- 목적
 : 피부와 피하조직에 자극을 주는 약물을 근육주사할 때 사용한다.
- 방법
 (1) 주사기에 0.2cc 공기를 채운 후, 주사침을 새로 멸균된 것으로 교체한다.
 (2) 피부와 피하조직을 한쪽으로 2.5~3.5cm 정도 당긴다.
 (3) 이 상태에서 주사부위를 소독한 후 주사침을 깊게 삽입한다.
 (4) 약물 주입 후 10초 정도 기다렸다가 주사침을 뺀다.
 (5) 주사침을 뺀 후 당겼던 조직을 놓는다. 
 (6) 마사지하지 않는다.

5. 수행항목 및 이론적 근거_ 둔부의 복면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투약카드에서 대상자의 약물이 들어 있는 약포지를 꺼내어 투약처방과 투약원칙(5rights;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의사의 투약처방 내용과 비교해 봄으로써 투약카드에 잘못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사의 투약처방이 정식 투약지 이다.
근육주사에 필요한 약물을 정확한 용량 및 방법으로 주사기에 준비한다. 안전한 투약을 하기 위함이다.
*2~5ml 주사기 : 성인 20-23G, 2.5~3.8cm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조직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대상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대상자 확인은 안전 간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약물 투여 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을 설명한 다음 약물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약물에 관한 설명을 하는 것은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커튼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준다.  
대상자의 상태와 약물 용량에 따라 적합한 주사부위를 정한 후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주사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주사부위를 선정한다.

* 둔부의 복면 부위
: 왼쪽 측위로 누워 오른쪽 무릎을 구부린 자세에서 둔부를 노출시킨 다음 간호사는 왼손의 손바닥을 대상자의 오른쪽 대전자 위에, 집게손가락은 전상장골극 위에 올려놓고 가운데 손가락은 장골능을 따라 V자로 벌려서 주사 부위를 선정한다.
이완되지 못한 단단한 근육은 불편감을 초래한다.

정확한 부위는 신경손상을 막는다.

먼저 주사놓은 부위의 약물흡수가 잘 되지 않아, 단단하거나 부어오른 부위는 피한다.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선정된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 정도 둥글게 닦아낸 후 소독약이 마르면 투약카드를 보고 약을 확인한 후 한 손으로 주사기를 집어 올려 주사바늘 뚜껑을 제거한다. 한 번 닦은 솜으로 깨끗한 부위를 다시 닦으면 오염된다.
주사바늘을 90°로 유지한 다음 주사기로 선정된 주사부위 근육을 재빨리 찌른다. 빨리 찌르는 것이 통증을 감소시킨다.
피부를 잡았던 손의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주사기 하단부를 잡 고, 주사기를 잡았던 손으로는 주사기의 내관을 살짝 뒤로 당겨 혈액이 나오지 않으면 주사기 내관을 당겨보던 손의 엄지손가락 으로 내관을 밀어서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다. (만약 주사기에 혈액 이 보인다면 주사기를 빼내어 버린 다음 주사 준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함) 주사침 삽입부위 주위 조직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사기를 고정한다. 정맥 속으로 약물이 주입되면 불편감을 초래하거나 심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약물을 서서히 주입함으로써 약물이 퍼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고 통증을 줄인다.
약물 주입이 끝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누르면서 주사바늘 삽입할 때와 같은 각도로 주사기를 재빨리 빼서 트레이에 놓고, 소독솜을 댄 채로 주사부위를 마사지 한다.(주사바늘 제거 후 출혈이 있을 때는 주사부위를 1~2분 정도 압박한다.) 주사침을 서서히 뽑으면 조직이 당겨 올라가 불편감을 느낀다.
마사지는 약물이 조직 내에서 잘 스며들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흡수를 돕는다.
소독솜을 트레이에 놓고 환의를 입힌 후 대상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해준다. 대상자의 근육 이완과 안정을 취하기 위함이다.
주사 후의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대상자의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다.
커튼(스크린)을 걷는다.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사용한 주사침 뚜껑을 끼울 때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1) 5 rights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 사유 또는 못한 이유
투약 후 즉시 기록해 약물이 이중으로 투여되는 일이 없게 한다.



6. 간호기록지

날짜 시간 간호기록
03.01 10:00 수술부위 통증이 심하다고 호소함. NRS 7점 측정됨. 주치의 김OO에게 보고함.
  10:10 처방에 따라 Dicknol 90mg을 둔부 복면에 IM 실시함. 통증이 감소될 것임을 설명함.

 
7. 참고 영상
[현문사] -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근육주사
https://www.youtube.com/watch?v=9f8rzK8ClE8

 
[구슬언니] - 근육주사 IM 놓는 법💉 주사부위 쉽게 찾는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gzRyC3O5ris

 
[구슬언니] 근육주사 IM 덜 아프게 놓는 방법 💉 14년차 간호사 구슬언니의 팁
https://www.youtube.com/watch?v=0tuK9mUCmD4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or 방명록 남겨주세요 ❤️

반응형